[2025년] 국민취업지원제도, 월 50만원 받는 방법 (실제 300만원 받은 후기)

국민취업지원제도, 월 50만원 받는 방법

안녕하세요!

저도 한때 취업 준비를 하면서 아르바이트와 공부를 병행하느라 통장 잔고는 바닥나고,
불안감만 커져가던 시절이 있었습니다.
그때 큰 힘이 되어준 제도가 바로 국민취업지원제도입니다.

저는 실제로 Ⅰ유형으로 선정되어 6개월간 매달 50만 원(총 300만 원)을 지원받았는데요,
오늘은 제 경험담과 함께 신청 자격·방법·실제 후기까지 전부 정리해드릴게요.




1. 국민취업지원제도란? (Ⅰ유형 vs Ⅱ유형)

국민취업지원제도는 참여자의 소득과 재산에 따라 Ⅰ유형Ⅱ유형으로 나뉩니다.
가장 큰 차이는 바로 구직촉진수당(월 50만 원) 지급 여부예요.

따라서 Ⅰ유형에 해당 되는 경우에 300만원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.




2. 나는 어디에 해당할까? (참여 자격 총정리)

저는 '청년 특례' 덕분에 Ⅰ유형 혜택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.
원래는 취업 경험이 필요하지만, 청년(만 18~34세)은 조건이 훨씬 완화돼요.

  • Ⅰ유형 일반 조건

    • 소득: 가구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

    • 재산: 가구 재산 4억 원 이하

    • 취업 경험: 최근 2년 이내 100일 또는 800시간 이상

  • 청년 특례 (제가 받은 조건!)

    • 나이: 만 18세 ~ 34세

    • 소득: 가구 기준 중위소득 120% 이하

    • 재산: 5억 원 이하

➜ 취업 경험 없어도 가능!
사실상 대부분의 자취하는 청년 취준생이 해당됩니다.

  • Ⅱ유형 조건

    • Ⅰ유형에 해당하지 않더라도,
      만 18~34세 청년이면 대부분 Ⅱ유형 참여가 가능합니다.
      (취업 지원 서비스, 직업훈련 수당 제공)






3. 월 50만원 받는 방법 (구체적인 활동)

Ⅰ유형에 선정되면, 단순히 돈만 주는 게 아니라
구직활동을 성실히 이행해야 매달 수당이 나옵니다.

    (1) 핵심 의무: 한 달에 2개 이상 구직활동 증명 (IRP 계획에 따라)

    (2) 구직활동으로 인정되는 활동들 

    (3) 지급 절차

  • 지정일 확인: 상담사님과 약속한 날짜에

  • 활동 보고서 제출: 고용24 홈페이지 또는 센터 방문하여 제출

  • 수당 입금: 승인 후 14일 이내 내 통장으로 50만 원 입금!


    (4) 추가 혜택: 취업성공수당 (최대 150만원)

  • 사실 이 부분은 제가 놓쳐서 정말 아쉬웠던 혜택인데요,
    취업 후 한 직장에서 꾸준히 일하면 추가로 돈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.
    (Ⅰ·Ⅱ유형 공통)

  • 6개월 근속 시 50만 원, 12개월 근속 시 100만 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데,
    저는 안타깝게도 1년을 채우지 못하고 이직을 하는 바람에
    마지막 100만 원은 받지 못했습니다. (정말 아까웠어요 :( )

  • 그러니 여러분은 취업하실 때 이 혜택까지 꼭 고려해서,
    첫 직장에서 1년을 채울지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바랍니다!



4. 신청 과정

복잡해 보이지만 생각보다 간단합니다.
저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하는 것을 추천해요!


  • STEP 1. 신청하기 (온라인/오프라인)

    • 오프라인 (추천!): 고용센터에 신분증만 들고 방문하는 게 가장 확실하고 편합니다.
      "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하러 왔다"고 하면 친절하게 안내해주십니다.

    • 온라인: 고용24(goyong24.go.kr)에서 신청
      (사전에 워크넷 구직 등록 필수)


  • STEP 2. 초기 상담 & 계획 수립

    • 신청 후 담당 상담사님이 배정되면,
      센터에 방문해 '개인별 취업활동계획(IRP)'을 함께 세웁니다.
      앞으로 6개월간 어떤 활동을 할지 계획하는 단계예요.


  • STEP 3. 활동 시작 & 수당 지급

    • 세운 계획에 따라 매달 2회 이상 활동을 보고하면,
      승인 후 50만 원이 지급됩니다.




5. 실제 후기

처음엔 솔직히 “나라에서 공짜로 돈을 준다고? 내가 될까?” 하는
반신반의한 마음이 들었습니다.
하지만 막상 참여해보니 절차도 어렵지 않았고,
매달 들어오는 50만 원 덕분에 아르바이트 시간을 줄이고
자소서와 자격증 공부에 더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.


    1) 가장 크게 느낀 장점

  • 경제적 불안 없이 취업 준비에 몰두할 수 있다는 점이 정말 큰 힘이 되었음

  • 취업에 성공하면 받을 수 있는 취업성공수당(최대 150만 원)도 추가 혜택
    (저는 놓쳤지만 꼭 챙기시길!)


     2) 제가 했던 구직활동

  • 오픽 시험 응시

  • 토익 시험 응시

  • 이후에는 채용공고, 지원 과정, 지원 완료 메일 캡처 등으로 월 2회 구직활동 증빙


    3) 수당 지급 절차

  • 구직활동 증빙자료(채용공고, 지원 화면, 완료 메일 캡처)를 홈페이지에 업로드

  • 상담사 승인 후 → 50만 원 지급

.

최종 요약

  • 청년이라면 대부분 Ⅰ유형 ‘청년 특례’로 월 50만 원 받을 수 있다.

  • 신청은 오프라인(고용센터) 방문이 가장 간단하고 확실하다.

  • 매달 구직활동 2개만 증명하면 통장에 50만 원씩 입금된다.

  • 취업 후 1년 근속하면 150만 원 보너스가 있으니, 첫 직장 선택 시 고려하자! 

 

저처럼 취업 준비하면서 힘들었던 분들, 국민취업지원제도 꼭 신청하세요!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3. 4번의 탈락 끝에 얻은 공기업 필기 합격 노하우

[2025년] 18개월 복무하고 2,050만원 만드는 법 : 장병내일준비적금

0. 공기업 취업,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? 단계별 준비 가이드